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거나 온라인 사업을 하는 회사의 퍼포먼스 마케팅을 하고 있는 마케터라면
관심있게 볼만한 구좌인 쇼핑박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마이씨가 생각하는 쇼핑박스를 활용하면 좋은 업체는 아래같다.
1. 신규로 온라인 판매사업을 시작하는 업체
2. 광고비가 여유로운 업체
3. 트래픽 유입(노출량)을 늘리고자 하는 업체
4. 디자인 or 기능적으로 메리트가 있는 업체
5. 상품 구성이 다양한 업체
왜 위의 업체들에 추천을 하는지 알아보자.
1. 노출지면

네이버는 PC 오른쪽에 트렌드상품 쇼핑박스가 노출된다.
PC에만 노출되고 광고 구좌는 상단/중단/하단으로 나뉘어 입찰이 이루어진다.
PC에만 노출됨에도 네이버 자체 트래픽이 워낙 높기 때문에 노출 및 유입량은 상당하다.

다음 쇼핑박스는 정액제로 운영이 되며 위치는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 노출된다.
다음쇼핑박스는 주간입찰과 월간입찰 두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2. 광고단가
1) 네이버 트렌드쇼핑박스
네이버 트렌드쇼핑박스는 입찰형태로 운영이 되는데
상단의 경우 주간 천만원 가까이 입찰가가 형성된다.
중단/하단의 경우 보통 주간 600만원선에 입찰되고 중단과 하단의 금액차이가 적을때도 있어
입찰 마감까지 체크가 필요하다.
최대 입찰금액을 설정해두면 그 이상 입찰이 진행되지 않는다.
쇼핑파트너센터>광고등록/관리>트렌드상품을 통해 입찰이 가능하다.
2) 다음 쇼핑박스
다음 쇼핑박스는 주간 300만원에 VAT별도, 월간 1,000만원에 VAT별도로 운영된다.
네이버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이나 트래픽은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다.
카카오모먼트>캠페인만들기를 통해 진행가능하다.
3. 트래픽
업종과 상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마이씨는 리빙상품 마케팅을 하고 있는데
우리 업종에선 다음과 네이버 트래픽이 2배가 차이가 났다.
트래픽에 따라 매출액도 2배 차이가 났다.
4. 광고 효율
실제 쇼핑박스를 운영했을때 생활용품은 ROAS가 60~80%였다.
전환율은 네이버나 다음이나 비슷했는데 0.2%정도였다.
상품군이 다양하거나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상품, 패션의 경우 효율은 더 올라가는 것으로 들었으나
상품 숫자가 적고 쉽게 구매가 일어나지 않는 상품이라면 쇼핑박스는 추천하지 않는다.
마이씨가 ROAS가 좋지않음에도 쇼핑박스를 운영했던것은
유입된 고객들에게 리타겟팅 광고를 하여 2차 유입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고비가 부담스럽다면 다른 매체를 통해 유입을 늘리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5. 쇼핑박스 효율을 올리기 위한 팁
1) 타겟에 따른 매체선정
최근에는 모바일 접속비중이 80%라고 하는데 트렌드 쇼핑박스는 PC에만 노출이 된다.
그리고 평일 노출량이 훨씬 높은것을 보아 직장인들이 PC로 접속을 많이 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들이 반응이 좋았다.
다음의 경우 연령대가 좀 높은 편이다.
40~50대를 타겟으로 하는 상품이라면 다음이 광고비 대비 효율이 좋은 편이다.
2) 광고 소재
같은 상품이어도 상품 구도나 문안에 따라 클릭률의 차이가 많이 난다.
소재테스트를 통해 클릭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1시간 단위로 소재등록을 해서 테스트 해보는 것이 좋다.
3) 랜딩페이지
상품 하나를 주력으로 판매할 예정이라면 상품으로 랜딩하면 되지만
기획전이나 이벤트를 노출하고 싶다면 메인으로 랜딩을 해야한다.
유입된 고객의 이탈율을 줄이기 위해선 랜딩페이지에 행사내용이나
상품이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는 요소가 있어야한다.
끝으로 업종에 따라 효율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주간으로 테스트 진행 후 효율이 낮다 싶으면 다른 광고로 노출과 유입을 늘리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네이버 트렌드 쇼핑박스의 경우 PC만 노출되기 때문에
연휴가 껴있는 주간의 경우 입찰가가 300만원대로 낮아진다.
높은 광고비가 부담스럽다면 이 시기를 활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해보는 것도 추천한다.
'마이씨 직장생활 > 마케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 이것은 작은 브랜드를 위한 책 / 마케팅 서적 요약 (0) | 2022.12.13 |
---|---|
불황이 예견된 2023년 트렌드코리아 소비 전망 (0) | 2022.11.11 |
와디즈 펀딩에 대해 알아보자(펀딩성공, 수수료, 펀딩하는 방법) (2) | 2022.04.12 |
티스토리 개설 후 해야 할 일들(ft. 구글, 네이버 검색엔진 등록방법) (0) | 2022.03.27 |